목록Programming/C (17)
간디의 세상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Increment and Decrement Operator)는 피연산자를 1씩 증가 또는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피연산자가 하나인 단항 연산자이며 증감 연산자는 해당 연산자가 어느 쪽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연산의 순서 및 결과가 달라집니다 증감 연산자 설명 ++x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 후에 해당 연산을 진행함 x++ 먼저 해당 연산을 수행하고 나서,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킴 --x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 후에 해당 연산을 진행함 x-- 먼저 해당 연산을 수행하고 나서,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킴 증감 연산자의 연산 순서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어느 쪽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연산의 순서가 달라집니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Compariso..
연산자(Operator)란 프로그램에서 산술식이나 연산식을 표현하고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호를 의미합니다 연산자에는 산술 연산자, 대입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비트 연산자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산술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입니다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고,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입니다 int num1 = 20; int num2 = 10; printf(num1 + num2); printf(num1 - num2); printf(num1 * num2); printf(num1 / num2); print..
연산자(Operator)란 프로그램에서 산술식이나 연산식을 표현하고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호를 의미합니다 연산자에는 산술 연산자, 대입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비트 연산자 등이 있습니다 연산자의 우선 순위 프로그램에서 연산자가 한 번씩만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무언가를 계산할 때도 더하기, 뺄셈, 곱셈, 나눗셈 등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연산자의 우선 순위(Operator Precedence)는 수식 내에 여러 연산자가 함께 등장할 때, 어떤 연산자가 먼저 처리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우리는 초등학생 때 더하기, 뺄셈, 곱셈, 나눗셈이 함께 있는 수식을 계산할 때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순서대로 계산한다고 배웠습니다 이때 곱셈과 나눗셈이 ..
데이터 타입(Data Type)이란 해당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고 어떻게 처리되어야 할 지를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C언어에서는 여러 형태의 타입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기본 타입이라고 합니다 크게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수형 타입 정수는 부호를 가지고 있지만, 소수 부분이 없는 수를 의미합니다 정수형 타입 할당 메모리 크기 표현 범위 (signed) short 2Byte -32,768 ~ 32,767 unsigned short 2Byte 0 ~ 65,535 (signed) int 4Byte -2,147,483,648 ~ 2,147,483,647 unsigned int 4Byte 0 ~ 4,294,967,296 (signed) long 4Byte -2,..
변수 변수(Variable)이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변하는 수로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고 C언어에서 숫자 표현에 관련된 변수는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 세부적으로 정수형 변수는 char, int, long 등이 있고, 실수형 변수는 float, double 등이 있습니다 변수의 이름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대소문자), 숫자, 언더바(_)로만 이루어집니다 ex) Vari_able1 (O) / Vari_able! (X) 숫자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ex) 12A (X) 공백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ex) vari able (X) / variable (O) C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 auto (X) 변수..
이스케이프 시퀀스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의 상태를 바꾸는 데에 쓰이는 일련의 문자열입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이스케이프 문자를 이용하여 이를 따르는 문자들의 뜻을 바꿀 수 있는데 여기서 문자들은 데이터가 아닌 실행 명령어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제어 시퀀스(Control Sequence), 확장 비트열이라고도 부릅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의미 기타 \' 작은 따옴표 (Single Quotes) \를 문자 상수로 사용 \" 큰 따옴표 (Double Quotes) \를 문자 상수로 사용 \? 물음표 \\ 백슬래시(\) \를 문자 상수로 사용 \a 경고음 발생 (Alert) 일부 시스템에서는 효과X \b 백스페이스 (Backspace) 현재 활성 위치의 라인에서 활성..
C언어에는 표준 입출력 함수가 있습니다 사용자가 프로그램과 소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함수를 입출력 함수 (I/O 함수)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으로는 printf()와 scanf()함수가 있는데 이 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printf( ) 함수 #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위 예제 코드에서는 Hello World를 출력합니다 print는 말 그대로 출력한다는 의미이고 뒤에 붙은 f는 오타가 아닌 formatted 의 약자입니다 서식화된 출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서식에 맞춰서 출력할 수 있는데 서식 지정자를 통해 어떤 서식에 맞춰 출력할 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intf("The Number Is %..